전라북도 교육거버넌스위원회 도입배경
민관협력위원회 운영 경험과 활동 결과를 토대로 일반자치와의 연계를 강화하고, 지역사회 구성원의 참여 범위를 확대하여 학생·학부모·주민의 교육복지 개선 방안을 모색
근거
전라북도 교육거버넌스 구축 및 활성화에 관한 조례 문서보기
기본방향
- 교육거버넌스는 위원회 활동이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수평적 협력관계에 따라 이루어지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 교육거버넌스는 안건 심의를 통해 해당 정책의 결정 과정에 참여하되, 정책 집행은 관련 법률에 따른 소관 기관·민간단체가 담당한다.
- 교육거버넌스는 교육에서의 민주성을 비롯하여 자주성, 중립성, 전문적 관리 등 헌법, 교육기본법,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에 따른 교육자치의 정신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운영하여야 한다.
구성
- 임기: 2020. 9. 1. ~ 2022. 8. 31.(2년)
- 방법: 추천의뢰(공무원), 공개모집, 외부위촉
인원: 40명 이내
구분 | 내부(3명) | 외부(37명) | 합계 | ||||
---|---|---|---|---|---|---|---|
공무원(11명) | 민간외부(29명) | ||||||
대상 | 도교육청 | 도청 | 도의회 | 기초자치단체 | 공개모집 | 위촉 | |
적용 | 교육감,실국장이상 | 실국장이상 | 의장 추천 (교육․행자위) |
실국장급 약간 명 | 외부위원 정수의 3/10 |
민간단체 | |
인원 (명) | 3 | 2 | 3 | 3 | 11 | 18 | 40 |
현황(가나다 순)
순 | 직 | 성명 | 순 | 직 | 성명 |
---|---|---|---|---|---|
1 | 위원 | 강용구 | 21 | 위원 | 방성호 |
2 | 위원 | 강주용 | 22 | 위원 | 신국섭 |
3 | 위원 | 강태순 | 23 | 위원 | 신원식 |
4 | 위원 | 강현정 | 24 | 위원 | 양지애 |
5 | 위원 | 고은경 | 25 | 위원 | 오유미 |
6 | 위원 | 권영세 | 26 | 위원 | 유혜숙 |
7 | 위원 | 김국재 | 27 | 위원 | 이기종 |
8 | 위원 | 김도영 | 28 | 위원 | 이미옥 |
9 | 위원 | 김성희 | 29 | 위원 | 이병재 |
10 | 위원 | 김승환 | 30 | 위원 | 이승일 |
11 | 위원 | 김용만 | 31 | 위원 | 이지훈 |
12 | 위원 | 김재균 | 32 | 위원 | 이창석 |
13 | 위원 | 김희진 | 33 | 위원 | 임성희 |
14 | 위원 | 남궁윤 | 34 | 위원 | 장병훈 |
15 | 위원 | 마인숙 | 35 | 위원 | 정현정 |
16 | 위원 | 문승우 | 36 | 위원 | 조창숙 |
17 | 위원 | 박승배 | 37 | 위원 | 차상철 |
18 | 위원 | 박정화 | 38 | 위원 | 천호성 |
19 | 위원 | 박호석 | 39 | 위원 | 최현창 |
20 | 위원 | 박희자 | 40 | 위원 | 홍성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