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 근거 및 배경

지원 근거
  • 일반고 교육역량 강화 방안 발표(교육부 2013. 10.)
  • 고교 맞춤형 교육 활성화 계획 발표(교육부, 2016. 4.)
  • 고교학점제 도입 기반 조성사업 시도교육청 업무담당자 회의 자료(교육부 주관, 2019.09.26.) : 고교 교육력 제고 사업(2017~2019)을 고교학점제 도입 기반 조성 사업(2020~2022)으로 전환
  • 2022년 국가시책 특별교부금 고교학점제 도입기반 조성사업 지원계획(교육부 고교교육혁신과, 2022.1.21.)
  • 전라북도교육청 2022학년도 일반고 자신감 프로젝트 지원 계획(학교교육과, 2022.2.8.)
지원 배경
  • 일반고 학생의 진로·적성·흥미에 맞는 다양한 학습 기회 보장을 위한 교원의 교육역량 강화 및 동력 마련 필요
  • 인재 양성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 다양화 필요
  • 고교학점제 시행에 대비한 일반고 교사의 다과목 지도 능력 배양 및 학생의 과목선택권 확대 추진

일반고 현황

고교 유형별 현황

(2022. 3. 1. 기준)

고교 유형별 현황 구분, 계, 일반고, 자율고, 특수목적고, 특성화고 정보제공
구분 일반고 자율고 특수목적고 특성화고
일반고 종합고 사립고 공립고 과학고 외국어고 예술고 체육고 마이스터 직업
계열
대안
계열
학교수
(교)
133 87 9 1 0 1 1 1 1 4 24 4
96 1 8 28
2022학년도 전북 지역별 일반고 현황
도내 일반고 현황(지도). 자세한내용 본문에 있음

지역별 일반고 현황 지역명, 학교수 정보제공
지역명 학교수 지역명 학교수 지역명 학교수
전주시 24 김제시 7 임실군 1
군산시 8 완주군 2 순창군 3
익산시 14 진안군 3 고창군 5
정읍시 10 무주군 4 부안군 5
남원시 6 장수군 4 96

목표 및 기본 방향

학생중심 교육과정 편성 및 수업방법 개선을 통한 자유롭게·신나게·감동적인 일반고

기본방향
  • 학생의 적성·희망·진로를 고려한 다양한 학생중심 교육과정 편성 지원
  • 함께 배우고 성장하는 즐겁고 행복한 학교문화 조성 지원
  • 학교별 특색 있는 프로그램 운영 지원
추진 과제
  • 학생 맞춤형 프로그램 다양화
    • 단위학교 브랜드화 지원
    • 교육과정 다양화 지원
    • 통섭형 인재 양성 지원
    • 일반고·대학 연계 프로그램
  • 학생 배움중심 수업개선 지원
    • 교원연수 및 컨설팅 지원
    • 수업방법 개선 지원
    • 평가 방식 개선 지원
    • 수업·평가나눔 협의체 지원
  • 기초학력 향상 및 맞춤형 대안교육
    • 기초학력 향상 지원
    • 또래 멘토링 지원
    • 예·체능계 미래인재 양성 지원
    • 교원역량강화 연수지원
  • 직업교육 기회 확대 및 내실화
    • 전문대학 연계 주말강좌 지원
    • 직업교육 위탁과정
    • 진로선택과목 확대 운영
    • 맞춤형 프로그램 운영
  • 학생의 과목선택권 확대를 위한 교육과정 다양화
  • 학생의 성장과 변화에 대한 스토리가 있는 학생중심 교육과정 운영
  •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독서·토론·발표중심의 통섭프로그램 운영
  • 학생 과목선택권 확대를 위한 교사 다과목 지도역량강화 연수 지원
  • 배움과 성장이 중심이 되는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
  • 배움과 성장이 더딘 학생에 대한 맞춤형 멘토링 프로그램 운영
  • 학생의 자존감 향상을 심어주는 진로·직업 프로그램 운영
  • 수업 및 평가방법의 변화를 통한 교육공동체의 동반 성장

주요 추진과제

학생중심 교육과정 편성 및 수업방법 개선을 통한 자유롭게·신나게·감동적인 일반고
배우고 싶은 과목을 자유롭게 선택하고, 학생배움중심 수업으로 신나게 활동하여, 함께 성장하는 감동적인 일반고
과제1 고교학점제 도입 역량 강화 공통 재정 지원
  • 1-1 교사의 수업(다과목 지도 능력 포함) 및 평가 방법 개선을 위한 연수
  • 1-2(1) 학생 적성·희망·진로를 고려한 다양한 교육과정 편성·운영 준비
  • 1-2(2) 학생 진로맞춤형 프로그램 활성화
  • 1-3 통섭형 인재 양성을 위한 통합 프로그램
과제2 학교 연계 공동교육과정
  • 2-1 오프라인 공동교육과정 거점학교 운영
  • 2-2 온라인 공동교육과정 거점학교 운영
  • 2-3 협력형 공동교육과정 참여학교 운영
과제3 교육과정 다양화
  • 3-1 진로중점(교과특성화)학교 운영
  • 3-2 소수학생 선택과목 운영
과제4 대학 연계 공동교육과정
  • 4-1 일반고·(2·3년제)대학 연계 주말강좌
  • 4-2 일반고·(4년제)대학 연계 주말강좌
과제5 에듀테크 활용 교육혁신 시범사업
  • 5-1 에듀테크 선도고교 운영
  • 5-2 온라인 공동교육과정 거점센터(학교)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