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 근거 및 배경
지원 근거
- 일반고 교육역량 강화 방안 발표(교육부 2013. 10.)
- 고교 맞춤형 교육 활성화 계획 발표(교육부, 2016. 4.)
- 고교학점제 도입 기반 조성사업 시도교육청 업무담당자 회의 자료(교육부 주관, 2019.09.26.) : 고교 교육력 제고 사업(2017~2019)을 고교학점제 도입 기반 조성 사업(2020~2022)으로 전환
- 2022년 국가시책 특별교부금 고교학점제 도입기반 조성사업 지원계획(교육부 고교교육혁신과, 2022.1.21.)
- 전라북도교육청 2022학년도 일반고 자신감 프로젝트 지원 계획(학교교육과, 2022.2.8.)
지원 배경
- 일반고 학생의 진로·적성·흥미에 맞는 다양한 학습 기회 보장을 위한 교원의 교육역량 강화 및 동력 마련 필요
- 인재 양성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 다양화 필요
- 고교학점제 시행에 대비한 일반고 교사의 다과목 지도 능력 배양 및 학생의 과목선택권 확대 추진
일반고 현황
고교 유형별 현황
(2022. 3. 1. 기준)
구분 | 계 | 일반고 | 자율고 | 특수목적고 | 특성화고 | |||||||
---|---|---|---|---|---|---|---|---|---|---|---|---|
일반고 | 종합고 | 사립고 | 공립고 | 과학고 | 외국어고 | 예술고 | 체육고 | 마이스터 | 직업 계열 |
대안 계열 |
||
학교수 (교) |
133 | 87 | 9 | 1 | 0 | 1 | 1 | 1 | 1 | 4 | 24 | 4 |
96 | 1 | 8 | 28 |
2022학년도 전북 지역별 일반고 현황

지역명 | 학교수 | 지역명 | 학교수 | 지역명 | 학교수 |
---|---|---|---|---|---|
전주시 | 24 | 김제시 | 7 | 임실군 | 1 |
군산시 | 8 | 완주군 | 2 | 순창군 | 3 |
익산시 | 14 | 진안군 | 3 | 고창군 | 5 |
정읍시 | 10 | 무주군 | 4 | 부안군 | 5 |
남원시 | 6 | 장수군 | 4 | 계 | 96 |
목표 및 기본 방향
학생중심 교육과정 편성 및 수업방법 개선을 통한 자유롭게·신나게·감동적인 일반고
기본방향
- 학생의 적성·희망·진로를 고려한 다양한 학생중심 교육과정 편성 지원
- 함께 배우고 성장하는 즐겁고 행복한 학교문화 조성 지원
- 학교별 특색 있는 프로그램 운영 지원
추진 과제
- 학생 맞춤형 프로그램 다양화
- 단위학교 브랜드화 지원
- 교육과정 다양화 지원
- 통섭형 인재 양성 지원
- 일반고·대학 연계 프로그램
- 학생 배움중심 수업개선 지원
- 교원연수 및 컨설팅 지원
- 수업방법 개선 지원
- 평가 방식 개선 지원
- 수업·평가나눔 협의체 지원
- 기초학력 향상 및 맞춤형 대안교육
- 기초학력 향상 지원
- 또래 멘토링 지원
- 예·체능계 미래인재 양성 지원
- 교원역량강화 연수지원
- 직업교육 기회 확대 및 내실화
- 전문대학 연계 주말강좌 지원
- 직업교육 위탁과정
- 진로선택과목 확대 운영
- 맞춤형 프로그램 운영
- 학생의 과목선택권 확대를 위한 교육과정 다양화
- 학생의 성장과 변화에 대한 스토리가 있는 학생중심 교육과정 운영
-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독서·토론·발표중심의 통섭프로그램 운영
- 학생 과목선택권 확대를 위한 교사 다과목 지도역량강화 연수 지원
- 배움과 성장이 중심이 되는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
- 배움과 성장이 더딘 학생에 대한 맞춤형 멘토링 프로그램 운영
- 학생의 자존감 향상과 꿈을 심어주는 진로·직업 프로그램 운영
- 수업 및 평가방법의 변화를 통한 교육공동체의 동반 성장
주요 추진과제
- 학생중심 교육과정 편성 및 수업방법 개선을 통한 자유롭게·신나게·감동적인 일반고
- 배우고 싶은 과목을 자유롭게 선택하고, 학생배움중심 수업으로 신나게 활동하여, 함께 성장하는 감동적인 일반고
과제1 고교학점제 도입 역량 강화 공통 재정 지원
- 1-1 교사의 수업(다과목 지도 능력 포함) 및 평가 방법 개선을 위한 연수
- 1-2(1) 학생 적성·희망·진로를 고려한 다양한 교육과정 편성·운영 준비
- 1-2(2) 학생 진로맞춤형 프로그램 활성화
- 1-3 통섭형 인재 양성을 위한 통합 프로그램
과제2 학교 연계 공동교육과정
- 2-1 오프라인 공동교육과정 거점학교 운영
- 2-2 온라인 공동교육과정 거점학교 운영
- 2-3 협력형 공동교육과정 참여학교 운영
과제3 교육과정 다양화
- 3-1 진로중점(교과특성화)학교 운영
- 3-2 소수학생 선택과목 운영
과제4 대학 연계 공동교육과정
- 4-1 일반고·(2·3년제)대학 연계 주말강좌
- 4-2 일반고·(4년제)대학 연계 주말강좌
과제5 에듀테크 활용 교육혁신 시범사업
- 5-1 에듀테크 선도고교 운영
- 5-2 온라인 공동교육과정 거점센터(학교)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