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을 통한 취업기능 강화
지자체의 특성화고 산·학·관 명장육성 사업
- 대학에 진학하지 않고도 취업할 수 있다는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지역특화 및 전략산업과 연계한 전문 기능명장 육성 지원
- 전문분야 자격증취득, 기술습득을 위한 훈련프로그램 운영 및 개발, 명장기능인력 육성과 관련된 실습기기 확충, 취업을 위한 기업체와의 협력 프로그램 운영
- 도제식 기술연마, 주요 산업현장 연수 등을 실시
산학연계 맞춤형 인력양성 사업 운영
- 산학연계 교육과정 편성·운영을 통한 맞춤형 기능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교육부, 중소기업청, 노동부, 병무청과 협약을 맺어 중소기업이 요구하는 연계 맞춤형 교육과정을 운영(3학년 1년간)하고 졸업과 동시에 해당 기업에 취업을 보장
- 참여기업에는 각종 세제 혜택과 기능인력을 보장하고 학교와 학생에는 기자재구입비와 훈련비, 대학진학시 학자금 지원등 인센티브 제공
2. 직업 기초능력 향상 및 전문 실기능력 신장
직업기초능력 향상 프로그램 운영
- 직업기초 역량을 갖춘 직업인 양성으로 중등 직업교육의 신뢰성을 제고하고 학생들의 입직(入職)에 필요한 능력, 직무향상 능력, 평생학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특성화고·마이스터고의 학업성취도평가를 직업기초능력평가로 대체
- 전문교육을 실시하는 고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의사소통(국어), 의사소통(영어), 수리활용능력, 문제해결능력 과목에서 직업기초능력 평가 실시
기능경기대회 운영·지원
- 우수기능인 발굴 육성을 통한 국가경쟁력 제고
- 기능경기대회를 통한 기술력 향상 및 기능인 우대 풍토조성을 위해 메카트로닉스 등 51개 직종에서 전북특별자치도기능경기대회, 전국기능경기 대회에 참가
- 2024 제54회 전북특별자치도기능경기대회 26개 직종 175명 참가, 96명 입상(금25, 은27, 동25, 장려상19)
- 2024 제59회 전국기능경기대회 26개 직종 75명 참가, 23명 입상(금4, 은5, 동4, 우수 4명, 장려 6명)
상업경진대회 운영·지원
- 지식정보화 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창의적인 상업실무능력 배양하고 상업정보실무능력 측정과 전문교과 지도방법 개선
- 회계실무 외 9종목의 경진종목과 동아리한마당, 동아리페스티벌 (동아리홍보부스)의 경연종목으로 전북상업경진대회를 개최하고 금, 은, 동 입상자가 전국상업경진대회에 참가
- 2024 제21회 전북상업경진대회 12개 직종 250명 참가, 66명 입상(금11, 은22, 동33)
- 2024 제14회 전국상업경진대회 15개 직종 106명 참가, 13명 입상(금3 은2, 동8)
영농학생(FFK)전진대회 운영·지원
- 미래 농촌사회의 주역이 될 영농후계인력 육성 전진대회를 통한 기술력 향상으로 농업교육 경쟁력 도모 및 전문 직업인 육성
- 농업계고 학생, 교원 250명이 참가, 경진분야 19종목, 농업교사 현장 대회 등을 운영·지원 ((사)한국농업교육협회 및 FFK 전북특별자치도 지부가 주관), 도 대회 입상자, 지도교사, 농업계고교 교장 등이 전국 FFK전진대회 참가
- 2024 전북영농학생(FFK)전진경진대회 5개 분야 20종목 294명 참가(금20, 은29, 동55)
- 2024 전국영농학생(FFK)전진경진대회 5개 분야 20종목 92명 참가(금10, 은9, 동21)
3.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직업교육 활성화
농업계·공업계고등학교 공동실습소 운영
- 농업계·공업계고 학생의 첨단 기자재 조작 능력과 선진 기술 전수
- 도내 농업계고·공업계고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첨단 기자재 조작 실습 및 직업소양 교육 및 직업체험교실 운영
- 지역민 소형건설기계 운전면허 취득지도
창업교육 프로그램 운영
- 다양한 창업교육 프로그램의 운영으로 창업 마인드를 고취시키고 자주적이고 적극적인 진로개척 기회 제공
- 4차 산업혁명 선도 동아리 프로그램 운영 지원
- 4차 산업혁명시대를 이끌어갈 실무능력을 갖춘 기능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로봇, 드론 및 3D프린팅 분야 등 선도 동아리 운영비 지원
- 우수 아이템을 보유한 전공별 창업동아리 발굴 및 사업화 운영비를 지원하고, 기능인재한마당 창업전람회 부스 운영 및 사례발표를 통해 학생 창업 능력 배양
- 동아리 아이템 전시 및 판매 체험활동을 통해 특성화고 학생들이 창업동아리 활동을 통해 만들어온 물건을 직접 소비자들에게 판매함으로써 소비자의 성향 파악과 더불어 실제 사업성을 파악함으로써 성공적인 창업의 기회를 교육적으로 제공
- 학교기업 설치 및 운영지원 : 최근 산업현장에서 실무능력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어, 학교교육과정과 기업 운영의 연계를 강화하기 위해 우수창업 아이디어를 갖고 있는 학교 중 3곳을 선정해 지원, 육성
- 창업진흥원 주관 청소년 창업교육 프로그램 비즈쿨(BizCool) 운영 : 청소년 기업가정신 함양을 통해 창의성과 도전정신을 갖춘 융합형 창의인재 양성을 위해 비즈쿨 참여학교로 선정된 33개 학교와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진흥원등 비즈쿨 사업담당 기관의 긴밀하고 유기적인 협조체계를 구축하고 지원
특성화고 글로벌 현장학습 운영
-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학생들에게 해외인턴십 및 다양한 해외체험· 현장실습 기회를 제공하고, 직업교육 관련 특화된 맞춤형 영어교육 내실화
- 용접, 자동차정비, CNC(기계가공), 조리·제과·제빵, 원예조경, 사무회계서비스, 목공·조적·미장·타일, 헤어미용, 전기·전자, 말사육 등 10개 분야 학생을 추천받아 1차 서류전형, 2차 심층면접 및 영어면접을 통해 선발하여 호주(Australia) 및 일본(Japan)에서 교육기관(실습업체 포함) 및 기숙사에서의 학생생활 태도 등의 정보를 지속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현지에 이전트 업체에 위탁하여 안전하게 학생을 관리하며 전공분야 연수를 실시
- 연수기간 : 매년 7월 ~ 10월
- 대상국가 : 일본, 호주
- 대상인원: 총 90명, 직무교육형 1주 45명, 현장실습형 6주 45명
- 프로그램 구성 및 내용
- 오리엔테이션 및 현장실무영어(기본과정)
- 언어교육 기술연수, 현장참관 : 전공 영역별 기술연수
- 현지 업체 현장실습(인턴) : 기술연수 관련분야 업체에서 인턴십
- 도교육청에서 연수비용 전액 지원(단, 현지생활비등은 자부담 원칙)하고 글로벌 현장학습 체험 후 현지 업체와 사전·사후 취업 연계
- 2024. 글로벌 현장학습 호주(시드니, 브리즈번) 1기 50명, 2기 47명 총 97명 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