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교육발전대상 이란?
목적
- 전북교육 발전에 크게 기여한 교직원ㆍ도민을 발굴ㆍ시상하여 교육적 표상으로 삼고자 함
선발 부문 및 인원(4개 부문)
부문 | 자격요건 | 대상 |
---|---|---|
➀ 수업혁신 | 수업 연구 및 혁신에 객관적이고 현저한 공을 인정받은 자 ※ 학교 안·팎 적극적인 학습공동체 활동(자료개발, 박람회) ※ 수업연구대회 수상 및 관련 분야 우수 논문 작성 등 |
교사, 수석교사, 교감 등 |
➁ 혁신경영 | 학교·기관 경영에 분명한 실적과 성과를 이룬 자 ※ 인구 소멸 지역 학생 유치로 폐교 위기 극복 등 |
14개 교육장 13개 직속기관(장) 교장, 원장 등 |
➂ 교육헌신 | 교육봉사·기부 및 의정활동 등으로 교육 발전에 크게 기여한 자 ※ 소외계층 장학 사업 지원 |
전·현직 교직원, 지자체 의원 등 |
➃ 교육협력 | 교육 투자와 지원 실적이 두드러진 자(기관) ※ 교육에 대한 투자가 뚜렷한 지자체, 기관 ※ 특성화고 졸업자 취업 확대 |
지자체(장), 공무원, 대학·기관(기업) 관계자 등 |
※ 자격 요건 충족 여부에 따라 부문별 수상 인원(0~2명)은 달라질 수 있음
수상자 특전
- 교육감 표창
- 「전북교육명예의 전당*」헌액
- 「전북교육홍보대사**」위촉
- 200만원(지원금)
※지원금은 교육청 소속 직원에게만 부여
*전북교육명예의 전당: 도교육청 누리집 전북 교육발전대상 코너에 상세 공헌 내용 게시
**전북교육홍보대사: 교육정책 및 신규 사업 홍보·자문 역할, 각종 위원회 활동
후보 자격
- 전북교육발전에 공헌이 뚜렷한 교직원 및 도민(주소지가 전북인 자)
※ 교직원은 추천일 기준(‘25. 6. 1.) 실(교육)경력 10년 이상인 자 - (추천 및 지원 제한) 「전북특별자치도 교육·학예에 관한 표창 조례」 및 「전북특별자치도교육감 표창 지침」준용
지원 방법
- (추천) 공공기관, 지자체, 시민단체, 법인, 개인 등
- 본인 지원
※ 지원서류 작성 후 방문·(전자)우편·제출
시상식
- 6월20일(금) 전주학생교육문화관 공연장에서 성료
















수상자
수업혁신 부문

이해영 수석교사
- ‘우리 아이 읽기·쓰기 어떻게 지도할까?’집필
- ‘초등어휘사전 1600’개발
- 학생 서·논술형 평가 자료 개발

정민수 수석교사
- 교육포털 ‘수업도시락 엠디랑’개발 및 운영
- 개념기반 탐구수업 실천 및 시범수업
- 전국 학회 논문 게재, 책쓰기 동아리 운영 및 도서 출간
교육헌신 부문

양종갑님
- 20년간 도내 고교 졸업생 200여 명에게 10여억 원의 장학금 지급
- 한글의 우수성 홍보 캠페인 프로그램(JTV)에 정기적 협찬
- 전주MBC 전주대사습놀이 학생대회에 상금 후원
교육협력 부문

완주군
- 교육사각 지대 해소를 위한 장학지원
- ‘수소에너지고등학교’의 협력형 특성화고등학교 선정을 위한 노력
- ‘아이키우기 좋은 교육도시 완주’ 실현

순창군
- 농촌 유학 유치를 통한 인구 유입
- 교육청-지자체 굳건한 협력체계 구축
- 교육발전특구 학교복합시설 선정에 기여
보도자료
- 전라일보: 제1회 전북교육발전대상 시상식 성료
- 연합뉴스: 전북교육발전대상 첫 수상자에 '장학사업 20억' 양종갑 등 선정
- BreakNews: 제1회 전북교육발전대상 '시상'
- 프레시안: "아동·청소년 위한 꾸준한 정책 추진 감사“ 완주군, 전북교육발전'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