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 및 목적
- 도심 공동화에 따른 학생 수 감소와 열악한 교육환경으로 인해 신도심과의 교육격차 심화
- 원도심학교 행·재정적 지원을 통한 지역교육격차 해소
- 원도심 특색을 살린 모델학교 조성으로 학교 선호도 제고 및 공교육 신뢰기반 구축
원도심학교의 개념
- 도시의 중심기능을 수행하던 지역이 사회 여건 변화와 도시 기능 이전 등에 의하여 물리적으로 쇠퇴하고, 기능적으로 중심 기능이 상실되어 과거의 중심지역으로서의 매력과 흡입력을 상실하게 된 지역에 위치한 학교
지역별 원도심학교 현황
- 원도심 지역 상권과 정주세대 유출로 지속적으로 학생 수가 감소하고 있는 52교 지정
- 지정현황
원도심학교 지정현황 지역, 학교수 초등학교, 중학교, 계 정보 제공 지역 학교 수 초등학교 중학교 계 전주 18 9 27 군산 11 1 12 익산 11 2 13 계 40 12 52
원도심학교 지원 내용
원도심학교 활성화 사업(52교)
- 원도심학교(49교)
지역의 자원·문화와 연계된 마을교육과정 또는 학교 학생들의 정서적 안정과 자존감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 등 학교와 지역의 여건에 따라 자율적이고 특색있는 교육과정 운영 - 도심속 작은학교(원도심학교) 공동통학구 (3교)
도시의 작은 학교를 과밀학급이 있는 대규모 학교와 공동학구로 지정하여 대규모학교에서 작은학교로 동일 행정동(동단위)에 한해 전·입학이 가능하도록 지원